![](https://blog.kakaocdn.net/dn/MKQeU/btspdLqIwgS/vLCkVpZneuvJkIU2oVOZ61/img.jpg)
Open AI가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발표하면서
그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챗GPT의 발표가 놀라운 점은
챗GPT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내놓을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이자
기존의 대화형 챗봇들과 비교하여
뛰어난 수준의 논리력과 정확도를 갖춘
답변을 제공하며
범용성이 크다는 점에 있다.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은
챗GPT의 개발로 인해 발전될
미래를 현재 사회 각 분야의
기술들, 사회 현상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책의 내용 중 하나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2018년 일본의 한 남성은 홀로그램 로봇
'게이트 박스'에 나오는 '미쿠'라는 여성 캐릭터와
결혼식을 올려 화제가 된 적 있다.(중략) 일본에서는 3,700명이 넘는 일본 남성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와 혼인신고를 하고 싶다'며 관련 증명서를 이 게이트박스를 제조하는 윙크루회사에 신청했다고 한다.
(역시 오타쿠의 나라...)
주로 일본에서 이런 현상들이 생기고 있지만
현재도 볼 수 있는 이런 현상들은
챗GPT처럼 자연어 처리 기술이 발달된
인공지능의 개발로
일본을 넘어 보편화 될지도 모른다.
인공지능과 사람이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게 된 다는 것은
인공지능과 사람의 연애, 결혼을
상상하게 만든다.
이 책은 이처럼 사람처럼 대화하는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생길 영향들을 현재 사례를 통해 예측해 본다.
미래의 삶
미래의 직업
미래의 교육
미래의 사회
네 가지 카테고리로 해당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챗GPT를 똑똑하게 사용하는 법을 수록하고 있다.
삶에서는 앞서 말한 인공지능과 사람의 결혼, 사우디아라비아 시민권을 갖고 있는 로봇 소피아 등을 소개하고 있다.
직업면에서는 다른 이야기들과 함께
2017년 마이크로소프트가 2025년과 그 이후에
점차 떠오를 것으로 본 10가지 직업군을 소개하는데
가상 공간 디자이너, 윤리 기술 변호사, 디지털 문화해설가, 프리랜스 바이오해커, 사물 인터넷 데이터크리에이티브, 우주 여행 가이드, 개인 콘텐츠 제작자, 생태 복원 전략가, 지속 가능한 전력 혁신가, 인체 디자이너가 그것이다.
교육 면에서는 과연 과제를 할 때 챗GPT 사용을 허락할 것인가? 챗GPT의 사용이 사람의 지능을 떨어트리는가? 등의 이야기를 한다.
저자는 옛날에는 전화번호를 외웠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의 발명으로 전화번호를 외우지 않아도 지능이 떨어졌다고 보지 않듯이 인공지능의 발달은 지식 위주가 아닌 새로 분야로 지능을 사용하게 할 거라 이야기한다.
저자는 사회면에서 감명깊은 당부를 하는데 사회면의 소개와 본 글의 마지막을 이 대사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청년들이여, 자신을 믿어라. 지금까지 살아온 것이 그대의 전부가 아니다. 세상이 바뀐다는 것은 지금까지와 다른 기회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의 대학 졸업장, 나의 현 직업 등 지금 현재의 모습으로 나의 미래까지 평가하지 말았으면 한다. 그리고 움직여라"
사소한 것이라도 실천하고 실천으로 통찰력을 얻어라
실천은 나의 정신적 근육을 탄탄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출처 : 전상훈, 최서연 지음,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 미디어 숲
![](https://blog.kakaocdn.net/dn/BH3K5/btspeqT2U4f/5C30p1NURa5zwF4VxEBFo1/img.jpg)
#챗GPT #독서 #인공지능 #미래 #IT
'버티풀크라운 > 우디스 북클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가 낳은 유일한 창조적 천재 <율리우스 카이사르>-장년기- (0) | 2023.08.03 |
---|---|
로마가 낳은 유일한 창조적 천재 <율리우스 카이사르>-청년기- (0) | 2023.07.27 |
로마가 낳은 유일한 창조적 천재 - 로마인 이야기4 율리우스 카이사르 (상) 유년기, 소년기- (0) | 2023.07.27 |
로마가 낳은 유일한 창조적 천재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돈과 여자 -대머리에 빚더미에 앉아있던 그가 인기있던 비결은 무엇일까?- (0) | 2023.07.27 |
창업을 넘어 기업가가 되고 싶은 분들을 위한 교양 자기계발서 <사장학 개론> (0) | 2023.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