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버티풀크라운347 웹툰 하우스 키퍼를 보고 출처 네이버 웹툰 1950년 황혼의 끝에서 아인슈타인은 마침내 그의 숙원인 [만물 이론]을 완성하여 발표하였다. 전자기력, 중력, 약력, 강력이 통합된 세상 인류는 순식간에 몇 세대를 뛰어넘는 산업혁명을 이루어 냈다. 1960년 세계 연합 정부는 A.I.를 완벽하게 컨트롤 하기 위한 로봇 3원칙을 공표하고 이를 기반으로 법을 제정하게 된다. 거리에는 일하는 A.I.로 넘쳐났다. 1976년 정규직이 사라지고 마침내 세계 인구의 80프로가 일을 하지 않게 된다. 이는 인류가 육체 노동에서 해방되었다는 걸 의미했다. 1976년 세상은 성숙한 과학의 발달로 대호황의 시대를 누리고 있었다. 라는 배경에서 시작하는 하우스키퍼는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SF물로 보이나 SF를 결합한 좀비물이다. 5살.. 2023. 4. 26. 웹툰 숲속의 담을 보고 출처 네이버 웹툰 숲속의 담은 귀엽고 동화같은 그림이 매력적인 작품이지만 이야기는 아포칼립스를 다룬다. 처음에는 평범해 보이는 소년 담의 모습에서 이야기가 시작한다. 교실에서 키울 화분을 가져온 담은 자신의 화분의 꽃이 빠르게 자라는 것을 알게 된다. 식물이 빠르게 자라나는 것을 보고 신기해서 하나 둘 식물을 키우기 시작했는데 식물이 교실과 건물을 덮을 정도로 자라버린다. 담의 친구 코나는 담이 대단하다며 칭찬하는데 어느날 담은 코나가 자랐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담은 나이를 먹어도 14살 때 이후로 키가 자라지 않았고 담의 부모님은 담을 데리고 이곳 저곳을 가보지만 이상이 없다는 의사의 소견만 들을 뿐 별다른 방도를 찾지 못한다. 담은 점점 방안에 틀어박혀 지내게 되고 어느날 부모님이 돌아가신다. 그리고.. 2023. 4. 26. 웹툰 겟백을 보고 출처 네이버 웹툰 겟백은 평범한 은정과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 다정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모짜르트를 질투했던 살리에리처럼 어렸을 적 보육원에서 자란 은정은 같은 보육원에 있는 동생 다정이의 재능에 자신의 한계를 느끼고 질투한다. 은정과 다정이 있는 보육원 담록원은 재능으로 아이들에게 등급을 매기고 눈에 띄는 차별을 하는 곳으로 영재를 데려가기 위해 기업에서 설립한 곳이었다. 담록원에서 6급으로 판정받은 은정은 원래 있던 고아원으로 보내질까봐 노심초사하며 그림을 그리지만 1급으로 판정받은 다정은 별다른 노력 없이도 뛰어난 그림 실력을 보여주며 원장 선생님의 사랑을 받는다. 그러던 어느날 기업의 관계자가 그림 실력이 뛰어난 아이를 입양하겠다고 하고 그림 실력이 뛰어난 아이는 은정과 다정이 있다고.. 2023. 4. 26.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Can machine think?- 출처 네이버 영화 Can machine think? 일명 튜링테스트라고 불리는 이미테이션 게임은 앨런 튜링이 고안한 테스트입니다 기계가 인공지능을 갖추었는지 판별하는 테스트로 인간과 기계를 다른 공간에 두고 감독자가 텍스트로 대화를 나누었을 때 대화를 통해 기계인지 인간인지 구분 못하면 기계가 지능을 가졌다고 판단하는 테스트라고 합니다 출처 위키백과 이 테스트는 2014년 영국 레딩 대학이 발표한 인공지능 유진 구스트만이 통과했습니다 1950년에 발표된 튜링 테스트를 2014년에 통과할때까지 수십년이 걸렸으나 통과 이후 기술이 비약적으로 빠르게 발전해 불과 몇년만에 현재는 chat gpt가 나오기까지 했습니다 이러한 튜링 테스트에 대한 내용이 담긴 앨런 튜링의 논문 소제목이 오늘 쓸 영화 제목과 같은 이.. 2023. 4. 26.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8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