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네이버 영화
Can machine think?
일명 튜링테스트라고 불리는 이미테이션 게임은 앨런 튜링이 고안한 테스트입니다
기계가 인공지능을 갖추었는지 판별하는 테스트로 인간과 기계를 다른 공간에 두고 감독자가 텍스트로 대화를 나누었을 때 대화를 통해 기계인지 인간인지 구분 못하면 기계가 지능을 가졌다고 판단하는 테스트라고 합니다
출처 위키백과
이 테스트는 2014년 영국 레딩 대학이 발표한 인공지능 유진 구스트만이 통과했습니다
1950년에 발표된 튜링 테스트를 2014년에 통과할때까지 수십년이 걸렸으나 통과 이후 기술이 비약적으로 빠르게 발전해 불과 몇년만에 현재는 chat gpt가 나오기까지 했습니다
이러한 튜링 테스트에 대한 내용이 담긴 앨런 튜링의 논문 소제목이 오늘 쓸 영화 제목과 같은 이미테이션 게임입니다
앨런 튜링의 논문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해당 논문은 마인드라는 심리학 저널에 실렸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으나 오늘의 주제와 다르므로 얘기하지 않고 본론으로 들어 가겠습니다
이미테이션 게임 논문의 첫 문장에 포함된 구절은 Can machine think?입니다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
오늘의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은 앨런 튜링의 삶을 그의 논문 첫 문장에 빗대어 표현합니다
천재적인 지능을 가졌지만 사회성이 떨어져 마치 기계와 같은 앨런 튜링은 영국의 비밀 군사작전에 지원합니다
말의 숨겨진 의미를 유추하지 못 하고 다른 사람의 기분을 고려해 행동하지 않는 튜링은 당연히 면접에 떨어질 뻔 하지만 비밀작전의 내용을 추리해냄으로써 합격하게 됩니다
다른 동료들과 함께 암호 해독에 투입된 튜링은 독일의 암호 애니그마를 해독하기보다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어야한다며 독자노선을 걷습니다
그는 사람들과 어울리지도 않고 협력도 안하면서 혼자 성과도 없이 다른 일을 하고 있으면서 다른 팀원들의 성과에는 악의없이 망가진 시계도 두 번정도는 제 시간을 가르킨다며 부분을 해석 하는 것이 아닌 전체를 해석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는 악의없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해야한다는 의미로 한 말이었지만 동료들의 성과를 무시하는 발언이었습니다
튜링의 이와 같은 행동들은 동료들과 불화를 만듭니다
매일같이 설정이 바뀌며 경우의 수가 셀수없이 많고 모든 경우의 수를 다 풀어내려면 몇 천년은 걸릴 암호체계에 대해 매일 12시가 지나 암호체계가 바뀌기 전까지 해독해야하는 미션을 전장에서 죽어가는 사람들을 생각하며 도전하고 있던 동료들은 그에게 화를 냅니다
결국 팀장은 암호 해독은 안하고 기계를 개발하는 튜링이 신청한 예산을 거부하고 튜링은 담당 장교 또한 예산을 허락안하자 영국의 수상 윈스턴 처칠에게 편지를 써 팀장을 자신으로 교체해 버립니다
(후에 팀원들이 그의 기계를 부수려고도 듭니다)
그렇게 기계 개발이 시작되고 튜링은 팀내에 있는 소련의 스파이로도 의심 받지만 새로운 팀원들도 받으면서 천천히 개발해 착수해 갑니다
튜링은 새로 영입한 여성 팀원의 조언과 도움으로 동료들과의 관계도 개선되고 기계를 완성시키지만 기계가 풀어야할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기계가 시간 내에 암호를 해독해 내지 못 합니다
그러던 중 독일군 암호가 항상 같은 위치에 같은 문자가 들아간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것은 하일리 히틀러(당시 독일군 경례) 였습니다
이 단서는 경우의 수를 대폭 줄여줬고 기계는 결국 시간 내에 암호를 해독해 냅니다
하지만 암호를 해독해낸 사실을 비밀로 해야했고 팀원의 가족이 죽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튜링의 팀은 비밀을 지킵니다
전후 앨런튜링의 업적은 숨겨지고 그는 동성애를 했다는 이유로 화학적 거세를 당합니다
그리고 얼마 후 그는 자살합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의 스토리를 간략하게 서술하면 위와 같지만 감독은 연출을 통해 동성애자였던 앨런 튜링의 고독감을 표현하고 그의 삶을 녹여냅니다
감독은 그의 어린시절, 전쟁시절, 현재를 번갈아 가면서 보여주며 앨런 튜링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감독은 묻습니다
기계가 생각을 할 수 있나?
그럼 앨런 튜링은 기계인가? 사람인가?
앨런 튜링은 동성애자인가? 전쟁 영웅인가?
영국은 암호를 해독했다는 것을 독일이 모르게 해 정보전에서 유리한 위치를 갖고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튜링의 업적을 숨겼고 튜링은 동성애라는 죄를 지은 범죄자로 화학적 거세를 당하고 결국 외로움에 자살합니다
감독은 앨런 튜링을 심문하는 형사에게 하는 질문을 통해 시청자에게 묻는 듯 합니다
앨런 튜링은 천재적인 두뇌를 가졌고 인간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이었지만 생각할 수 있는 인간이고 인간인 이상 외로움을 느낄 수 밖에 없다
그런데 그의 업적은 숨겨지고 동성애자인 그가 외로움에 동성애를 했다는 이유로 처벌 받은 것만이 역사에 남는다면 독일군의 암호를 해독해 전쟁의 승리를 2년 앞당기고 수천만의 사람을 살린 업적에 비해 너무 불명예스러운 일이 아닌가?하고 말입니다
그런 감독의 마음은 튜링의 전 약혼녀의 대사에서도 나타납니다
전쟁에 의해 사라져버렸을 마을들과 사람들을 구한 당신은 평범한 사람일 수 없고 특별한 사람이라고...
이상으로 영화 리뷰를 마치며 논문 이미테이션 게임의 첫 문장 속 구절과 영화 속 베네딕트 컴버베치의 대사를 다시 올립니다
Can machine think?
기계가 생각을 할 수 있나?
그럼 앨런 튜링은 기계인가? 사람인가?
앨런 튜링은 동성애자인가? 전쟁 영웅인가?
'버티풀크라운 > 블라인드 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 명의 거장이 만든 뉴욕이야기 - 뉴욕스토리- (1) | 2023.05.03 |
---|---|
티빙 드라마 방과후 전쟁활동을 보고 (0) | 2023.04.26 |
신카이 마코토 감독 재난 3부작 -스즈메의 문단속- (0) | 2023.03.27 |
신카이 마코토 감독 재난 3부작 -날씨의 아이를 보고- (0) | 2023.03.27 |
아바타2 -물의길-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