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과목:노동시장론
61. 다음 중 사회적 비용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게 유발되는 실업은?
① 경기적 실업 ② 계절적 실업 ③ 마찰적 실업 ④ 구조적 실업
62. 불경기에서 발생하는 부가노동자효과(added worker effect)와 실망실업자효과(discouraged worker effect)에 따라 실업률이 변화한다. 실업률에 미치는 효과의 방향성이 옳은 것은? (단, + : 상승효과, - : 감소효과)
①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②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③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④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63. 개별기업수준에서 노동에 대한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기술의 변화 ㄴ. 임금의 변화 ㄷ. 최종생산물가격의 변화 ㄹ. 자본의 가격 변화 |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64. 노조가 임금인상 투쟁을 벌일 때, 고용량 감소효과가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경우는?
①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이 0.1일 때
②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이 1일 때
③ 노동수용의 임금탄력성이 2일 때
④ 노동수용의 임금탄력성이 5일 때
65. 일부 사람들이 실업급여를 계속 받기 위해 채용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곳에서만 일자리를 탐색하며 실업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 중 이러한 사람들이 실업자가 아니라 일할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① 실업률과 경제활동참가율 모두 높아진다.
② 실업률과 경제활동참가율 모두 낮아진다.
③ 실업률은 낮아지는 반면, 경제활동참가율은 높아진다.
④ 실업률은 높아지는 반면,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
66. 노동조합측 쟁의수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태업 ② 보이콧 ③ 피케팅 ④ 직장폐쇅
67. 임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산업사회에서 사회적 신분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② 임금수준은 인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는 무관한다.
③ 가장 중요한 소득원천 중의 하나이다.
④ 유효수요에 영향을 미쳐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68. 2차 노동시장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① 높은 임금 ② 높은 안정성 ③ 높은 이직률 ④ 높은 승진률
69. 연공급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기업에 대한 귀속의식 제고
② 전문기술인력 확보 곤란
③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의 효과 제고
④ 인건비두마의 감소
70. A국의 취업자가 200만 명, 실업자가 10만 명, 비경제활동인구가 100만 명이라고 할 때, A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① 약 66.7% ② 약 67.7% ③ 약 69.2% ④ 약 70.4%
71. 조합원 자격이 있는 노동자만을 채용하고 일단 고용된 노동자라도 조합원 자격을 상실하면 종업원이 도리 수 없는 숍 제도는?
① 오픈숍 ② 유니온숍 ③ 에이젼시숍 ④ 클로즈드숍
72. 기업별 노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자들의 횡단적 연대가 뚜렷하지 않고, 동종·동일산업이라도 기업 간의 시설규모, 지불능력의 차이가 큰 곳에서 조직된다.
② 노동조합이 회상의 사정에 정통하여 무리한 요구로 인한 노사분규의 가능성이 낮다
③ 사용자와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 어용화의 가능성이 낮다.
④ 각 직종 간의 구체적 요구조건을 공평하게 처리하기 곤란하여 직종 간에 반목과 대립이 발생할 수 있다.
73. 최저임금제도의 기대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소득분배의 개선
② 기업 간 공정경쟁의 확보
③ 산업평화의 유지
④ 실업의 해소
74. 임금격차의 원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인적자본 투자의 차이로 인한 생산성 격차 ㄴ. 보상적 격차 ㄷ. 차별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75. 다음 중 가장 적극적인 근로자의 경영참가형태는?
① 단체교섭에 의한 참가
② 단체행동에 의한 참가
③ 노사협의회에 의한 참가
④ 근로자중역, 감사역제에 의한 참가
76. 선별가설(screening hypothesis)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교육훈련이 생산성을 직접 높이는 것은 아니고 유망한 근로자를 식별해주는 역할을 한다.
②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훈련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학력이 높은 사람이 소득이 높은 것은 교육 때문이 아니고 원래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④ 근로자들은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보여주기 위해 교육에 투자한다.
77. 직무급 임금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정기승급에 의한 생활안정으로 근로자의 기업에 대한 귀속의식을 고양시킨다.
② 기업풍토, 업무내용 등에서 보수성이 강한 기업에 적합하다.
③ 근로자의 능력을 직능고과의 평가결과에 따라 임금을 결정한다.
④ 노동의 양뿐만 아니라 노동의 질을 동시에 평가하는 임금결정방식이다.
78. 단체교섭에서 사용자의 교섭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기업의 재정능력이 좋으면 사용자의 교섭력이 높아진다.
② 사용자 교섭력의 원천 중 하나는 직장폐쇄(lockout)를 할 수 있는 권리이다.
③ 사용자는 쟁의행위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를 원칙적으로 도급 또는 하도급을 줄 수 있다.
④ 비조합원이 조합원의 일을 대신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면, 그만큼 사용자의 교섭력이 높아진다.
79. 실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마찰적 실업은 자연실업률 측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② 더 좋은 직장을 구하기 위해 잠시 직장을 그만둔 경우는 경기적 실업에 해당한다.
③ 경기적 실업은 자연실업률 측정에 포함된다.
④ 현재의 실업률에서 실망실업자가 많아지면 실업률은 하락한다.
80. 내부도종시장의 형성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관습 ② 현장훈련 ③ 임금수준 ④ 숙련의 특수성
'버티풀크라운 > 다우니즈 핫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2급(2022년 2차) 정답 (0) | 2022.04.24 |
---|---|
직업상담사 2급(2022년 2차)_노동관계법규 기출문제 (0) | 2022.04.24 |
직업상담사 2급(2022년 2차)_직업정보론 기출문제 (0) | 2022.04.24 |
직업상담사 2급(2022년 2차)_직업심리학 기출문제 (0) | 2022.04.24 |
직업상담사 2급(2022년 2차)_직업상담학 기출문제 (0) | 2022.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