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티풀크라운/다우니즈 핫 라이프

직업상담사 2급(2022년 2차)_노동관계법규 기출문제

by 꾸깃쿠크 2022. 4. 24.
728x90

5과목:노동관계법규

 

81.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사용사업주가 파견근로자를 직접 고용할 의무가 발생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고용노동부장관의 허가를 받지 않고 근로자파견 사업을 하는 자로부터 근로자파견의 역무를 제공받은 경우

제조업의 직접생산공정업무에서 일시적 · 간헐적으로 사용기간 내에 파견근로자를 사용한 경우

건설공사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에서 부상으로 결원이 생겨 파견근로자를 사용한 경우

건설공사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에서 연차 유급휴가로 결원이 생겨 파견근로자를 사용한 경우

 

82. 국민 편생 직업능력 개발법령상 근로자의 정의로서 가장 접합한 것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자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금 · 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자

사업주에게 고용된 사람과 취업할 의사가 있는 사람

 

83. 고용보험법령상 다음 사례에서 구집급여의 소정 급여일수는?

 

장애인 근로자 A(40)4년간 근무하던 회사를 퇴사하여 직업안정기관으로부터 구직급여 수급자격을 인정받았다.

 

120150180210

 

84. 고용보험법령상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피보험자란 근로기준법령상 근로자와 사업주를 말한다.

실업이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보수란 사용자로부터 받는 일체의 금품을 말한다.

일용근로자3개월 미만 동안 고용된자를 말한다.

 

85.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반드시 지정직업훈련기설의 지정을 취소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시정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

변경지정을 받지 아니하고 지정 내용을 변경하는 등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직업훈련시설을 운영한 경우

훈련생을 모집할 때 거짓 광고를 한 경우

거짓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86. 근로기준법상 미성년자의 근로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원칙적으로 15세 이상 18세 미만인 사람의 근로시간은 1일에 7시간, 1주에 35시간을 초과하지 못한다.

미성년자는 독자적으로 임금을 청구할 수 없다.

고용노동부장관은 근로계약이 미성년자에게 불리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를 해지할 수 있다.

친권자나 후견인은 미성년자의 근로계약을 대리할 수 없다.

 

87. 헌법상 노동기본권 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국가는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한다.

여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 고용 · 임금 및 근로조건에 있어서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공무원인 근로자는 자주적인 단결권 · 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88. 개인정보 보호법령상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이하 보호위원회라 한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대통령 소속으로 보호위원회를 둔다.

보호위원회는 상임위원 2명을 포함한 9명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보호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④ 「정당법에 따른 당원은 보호위원회 위원이 될 수 없다.

 

89.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령상 고령자 고용정보센터의 업무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고령자에 대한 구인 · 구직 등록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홍보

고령자에 대한 직장 적응훈련 및 교육

고령자의 실업급여 지급

 

90. 직업안정법령상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할 수 있는 무료직업소개사업이 아닌 것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하는 직업소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소개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체육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소개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 재해를 입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소개

 

91. 고용보험법령상 실업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실업급여로서 지급된 금품에 대하여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과금을 부과하지 아니한다.

실업급여를 받은 권리는 양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다.

실업급여수급계좌의 해당 금융기고나은 이법에 따른 실업급여만이 실업급여수급 계좌에 입급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구집급여에는 조기재취업 수당, 직업능력개발 수당, 광역 구직활동비, 이주비가 있다.

 

92. 근로기준법령상 사용자가 3년간 보존하여야 하는 근로계약에 관한 중요한 서류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임금대장

휴가에 관한 서류

고용 · 해고 · 퇴직에 관한 서류

퇴직금 중간정산에 관한 증명서류

 

93. 직업안정법령상 직업소개사업을 겸업할 수 있는 자는?

 

식품접객업 중 유흥주점영업자

숙박업자

경비용업업자

결혼중개업자

 

94. 근로기준법령상 이행강제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3천만원 이하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한다.

노동위원회는 이행강제금 납부의무자가 납부기한까지 이행강제금을 내지 아니하면 즉시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할 수 있다.

노동위원회는 최초의 구제명령을 한 날을 기준으로 매년 4회의 범위에서 구제명령이 이행될 때까지 반복하여 이행강제금을 부과 · 징수할 수 있다.

근로자는 구제명령을 받은 사용자가 이행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면 이행기한이 지난 때부터 30일 이내에 그 사실을 노동위원회에 알려 줄 수 있다.

 

 

 

95. 남녀고용평등과 일 ·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령상 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여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모집과 채용

임금

근로시간

교육 · 배치 및 승진

 

96.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차별시정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기간제근로자는 차별적 처우를 받은 경우 노동위원회에 차별적 처우가 있은 날로부터 6개월이 경과하기 전에 그 시정을 신청할 수 있다.

기간제근로자가 차별적 처우의 시정신청을 하는 때에는 차별적 처우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노동위원회는 차별적 처우의 시정신청에 따른 심문의 과정에서 관계당사자 쌍방 또는 일방의 신청 또는 직원에 의하여 조정(調停)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시전신청을 한 근로자는 사용자가 확정된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를 중앙노동위원회에 신고하여야 한다.

 

97.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고용정책 기본법령상 상시 ( )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매년 근로자의 고용형태 현황을 공시하여야 한다.

 

50 100 200 300

 

98. 남녀고용평등과 일 ·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령상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8조의2(배우자 출산휴가) 사업주는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이하 배우자 출산휴가라 한다)를 청구하는 경우에 ( )일의 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하 생략)
배우자 출산휴가는 근로자의 배우자가 출산한 날로부터 ( )일이 지나면 청구할 수 없다.

 

: 5, : 30

: 5, : 90

: 10, : 30

: 10, : 90

 

 

99. 남녀고용평등과 일 ·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직장 내 성희롱의 금지

배우자 출산휴가

육아휴직

생리휴가

 

100. 고용정책 기본법상 근로자의 고용촉진 및 사업주의 인력확보 지원시책에 아닌 것은?

 

구직자와 구인자에 대한 지원

학생 등에 대한 직업지도

취업취약계층의 고용촉진 지원

업종별 · 지역별 고용조정의 지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