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티풀크라운/다우니즈 핫 라이프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65회 심화(2023) 1~10번

by 꾸깃쿠크 2023. 8. 16.
728x90

 

 

사유 재산과 계급이 출현하였다는 것에서 청동기 시대임을 알 수 있다. 주요 프로그램에 청동기 시대 대표적인 유물인 비파형 동검 모형을 만든다는 것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

 

1.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 철기

2.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 청동기 (정답)

3. 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처음 사용하였다. - 신석기

4. 쟁기,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가 이용되었다. - 철기

5. 주로 동굴이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거주하였다. - 구석기

 

우거왕이 있던 시기는 고조선의 위만 조선 시기이다.

 

  1.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고구려
  2.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삼한
  3.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 동예
  4. 여러 가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부여
  5.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두었다. - 고조선 (정답)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백제는 웅진으로 도읍을 옮겼다.

 

  1. 무왕이 미륵사를 창건한 곳을 살펴본다. - 익산
  2.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 발굴된 곳을 답사한다. - 웅진 (정답)
  3. 성왕이 신라와의 전투에서 전사한 곳을 검색한다. - 관산성
  4. 윤충이 의자왕의 명을 받아 함락시킨 곳을 지도에서 표시한다. -대야성
  5. 계백이 이끄는 결사대가 신라군에 맞서 싸운 곳을 조사한다. - 황산성

 

호우총에서 발견된 것은 호우명 그릇이다. 호우명 그릇은 신라와 고구려 사이의 정치적 관계를 알 수 있는 글귀가 적혀 있었다.

 

  1. 호우명 그릇 (정답)
  2. 백제 무령왕릉 수석
  3. 칠지도
  4. 고구려 금동 연가 7연명 여래 입상
  5. 신라 기마인물형 토기

 

백제가 평양성을 공격해 왕이 사망한 사건은 근초고왕이 고국원왕을 전사시킨 사건이다.

 

  1. 유리왕이 졸본에서 국내성을 천도하였다. - 고구려 건국시기로 제시된 지문의 이전 시기이다.
  2. 미천왕이 낙랑군을 축출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 고구려 초기
  3. 소수림왕이 불교를 공인하고 율령을 반포하였다. - 소수림왕은 고국원왕 이후 왕이다. (정답)
  4. 고국천왕이 을파소를 등용하고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고구려 초기
  5. 유자자사 관구검이 이끄는 군대가 환도성을 함락하였다. - 지문 이전 시기

 

 

가의 백강이라는 키워드로 보아 백강 전투임을 알 수 있다. 백강 전투는 백제 왕자 풍이 백제 멸망 후 왜와 함께 일으킨 백제 부흥 운동이다.

 

나의 매소성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나당 전쟁임을 알 수 있다.

 

  1. 장문휴가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 발해 무왕
  2. 원광이 왕명으로 걸사표를 작성하였다. - 신라 진평왕
  3.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 7세기 고구려와 수의 싸움
  4. 김춘추가 당과의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 - (가)에서 이미 당과 신라과 함께 싸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검모잠이 안승을 왕으로 세워 부흥 운동을 벌였다. - 고구려 부흥 운동 (정답)

 

 

고왕, 무예, 해동성국 등을 통해 발해임을 알 수 있다.

 

  1. 정사암 회의를 개최하였다. - 백제
  2. 9서당 10정의 군사 조직을 갖추었다. - 신라
  3. 욕사, 처려근지 등의 지방관을 두었다. - 고구려
  4. 인안, 대흥 등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발해 (정답)
  5. 광평성을 비롯한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 고려

 

원효의 아들이면서 이두를 정리한 이는 설총이다.

 

  1. 향가 모음집인 삼대목을 편찬하였다. - 진성여왕 시기
  2. 진성 여왕에게 시무책 10여조를 올렸다. - 최치원
  3. 화랑도의 규범으로 세속 5계를 제시하였다 - 원광
  4. 외교 문서 작성에 능하여 청방인문표를 지었다. - 강수
  5. 국왕에게 조언하는 내용인 화왕계를 집필하였다. - 설총 (정답)

 

 

혜공왕 피살 이후 시기는 신라 하대 시기이다.

 

  1. 의창에서 곡식을 빌리는 백성 - 고려
  2. 민권당에서 대담을 나누는 학자 - 고려
  3. 혜민국에서 약을 받아 가는 환자 - 고려
  4.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는 승려 - 의상
  5. 청해진을 거점으로 해적을 소탕하는 병사 - 청해진은 신라 하대 장보고가 만든 것입니다. (정답)

 

 

왕씨 성을 하사한 것, 정계와 계백료서, 흑창 등의 키워드로 보아 왕건임을 알 수 있다.

 

  1. 개국 공신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 왕건 (정답)
  2. 외침에 대비하여 광군을 조직하였다 - 고려 정종
  3. 광덕, 준풍 등의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 고려 광종
  4. 관학 진흥을 목적으로 양현고를 운영하였다. - 고려 예종
  5. 주전도감을 설치하여 해동통보를 발행하였다. - 고려 숙종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