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이정청은 조선 말기 임술민란을 수습하고자 만들어진 기구입니다.
1.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영남 만인소는 조선책략을 비판하였습니다.
2. 운요호가 강화도와 영종도를 공격하였다. -조선의 쇄국으로 인한 일본의 강압책이었습니다.
3. 동학교도가 교조 신원을 주장하며 삼례 집회를 개최하였다. -동학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4. 황사영이 외국 군대의 출병을 요청하는 백서를 작성하였다. -천주교 박해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5. 백낙신의 탐학이 발단이 되어 진주에서 논민들이 봉기하였다. -진주민란, 임술민란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정답 5
팔도 지리지가 완성된 것은 조선 성종시기의 일입니다.
- 예학을 정리한 가례집람이 저술되었다. -선조, 간행 숙종
- 외교 문서를 집대성한 동문휘고가 편찬되었다. -조선 정조
- 국가의 의례를 정비한 국조오례의가 완성되었다. -조선 성종
- 전통 한의학을 정리한 동의보감이 간행되었다. -조선 광해군
- 역대 문물 제도를 정리한 동국문헌비고가 만들어졌다. -조선 영조
정답 3
연산군이 폐위되고 왕이 된 인물은 중종입니다.
- 이괄이 난을 일으켜 도성을 점령하다. -인조
- 허적과 윤휴 등 남인이 대거 출축되다 -숙종
-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기축옥사가 일어나다 -선조
- 위훈 삭제를 주장한 조광조 일파가 제거되다 -중종
- 조의제문이 발단이 되어 김일손 등이 화를 입다 -연산군
정답 4
사명대사(유정)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입니다.
- 이종무가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세종
2. 송상현이 동래성에서 항전하였다. -임진왜란
3. 김상용이 강화도에서 순절하였다. -병자호란
4. 최영이 홍산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고려말 우왕
5. 강홍립 부대가 사르후 전투에 참전하였다. -광해군
정답은 2
김홍도는 조선 후기의 화가입니다.
- 금강전도 등 진경 산수화가 그려졌다. -영조
- 새로운 역법으로 수시력이 도입되었다. 고려~조선중기
- 양반 사회를 풍자한 탈춤이 성행하였다. -조선 후기
- 춘향가, 흥보가 등의 판소리가 유행하였다. -조선 후기
- 홍길동전, 박씨전 등의 한글 소설이 널리 읽혔다. -조선 후기
정답 2
대전통편은 정조 시기의 책입니다.
- 인재 양성을 위해 초계문신제를 시행하였다. -정조
- 홍경래 등이 봉기하여 정주성을 점령하였다. -순조
-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예송이 전개되었다. -현종
- 이인좌를 중심으로 소론 세력 등이 난을 일으켰다. -영조
- 신류가 조총 부대를 이끌고 흑룡강에서 전투를 벌였다. -효종
정답 1
목민심서, 경세유표, 강진 유배등으로 정약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일본에 다녀와 해동제국기를 편찬하였다. -신숙주
-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였다. -주세붕
-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다. -김정희
-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하였다. -정제두
-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거중기를 설계하였다. -정약용
정답 5
평양 군민이 대동강에서 이양선을 격침했다는 것으로 보아 제너럴 셔먼호 사건입니다.
- 신유박해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였다. -신유박해는 천주교 박해 사건입니다.
- 신미양요가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 정답
- 전개 과정에서 전주 화약이 체결되었다. -동학농민운동
- 외규장각 도서가 국외로 약탈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병인양요
- 오페르트의 남연군 묘 도굴 사건을 배경으로 일어났다. -남연군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로 개항을 목적으로 오페르트가 자행한 사건입니다.
정답 2
왜양일체론을 주장한 것은 최익현입니다.
- 대한 광복회를 조직하여 친일파를 처단하였다 -박상진
- 국권 피탈 과정을 정리한 한국통사를 집필하였다. -박은식
-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최익현
- 13도 창의군을 지휘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이인영
- 보국안민을 기치로 우금치에서 일본군 및 관군에 맞서 싸웠다. -동학, 전봉준
정답 3
제시된 사료의 내용이 가리키는 것은 갑신정변입니다.
갑신정변은 1884년의 일로 정답은 3입니다.
'버티풀크라운 > 다우니즈 핫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64회 심화(2023) 41~50번 (0) | 2023.07.26 |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64회 심화(2023) 31~40번 (0) | 2023.07.26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64회 심화(2023) 11~20번 (0) | 2023.07.26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64회 심화(2023) 1~10번 (0) | 2023.07.26 |
라푼젤 스크립트(5) (0) | 2022.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