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s://blog.kakaocdn.net/dn/bKpvMG/btsp7TPA5v4/Ekd3aKvKNgyYET1T4sklTK/img.png)
12목은 고려 성종때 설치되었다.
왕규의 난은 왕건의 다음 왕인 혜종때 있었일이고 강조의 정변은 고려 목종때 있었던 일이다.
정답은 나이다.
![](https://blog.kakaocdn.net/dn/m25B0/btsp7z4SDsh/MayFDpn2tewsJW3AmJMCg1/img.png)
현종때 초조대장경은 거란의 침입을 막고자 지어졌다.
- 박위를 보내 근거지를 토벌하였다. - 왜
- 조총 부대를 나선 정벌에 파견하였다. - 조선 효종 러시아군 공격
- 개경을 방어하기 위해 나성을 축조하였다. - 거란 (정답)
- 압록강 상류 지역을 개척하여 4군을 설치하였다. - 여진 조선 세종
- 국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비변사를 신설하였다. - 왜 조선 중종
![](https://blog.kakaocdn.net/dn/Iq66K/btsqh1MnpVQ/GHLW5SiMnp4wd1H752utUK/img.png)
문종의 아들로 신편제종교장총록을 지은 것은 의천이다.
- 국청사의 주지가 되어 해동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 의천 (정답)
- 불교 개혁을 주장하며 수선사 결사를 조직하였다. - 지눌
- 선문염송집을 편찬하여 유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 혜심
- 불교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삼국유사를 집필하였다. - 일연
-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순례하고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 혜초
![](https://blog.kakaocdn.net/dn/AJGSy/btsp7TB58NK/sKsDEmkM5yRINMJBDN0qt1/img.png)
가 - 정중부라는 이름을 통해 무신집권기임을 알 수 있다.
나 - 이자겸이라는 이름을 통해 이자겸의 난임을 알 수 있다.
다 - 묘청이라는 이름을 통해 묘청의 난임을 알 수 있다.
순서 나 - 다 - 가
정답 4
![](https://blog.kakaocdn.net/dn/eDj0eD/btsqh1exUh7/b5ZOQWqdtJc8XhSV0Gcgp0/img.png)
기철의 이름을 통해 공민왕 시기임을 알 수 있다.
- 농사직설을 편찬하는 학자 - 조선 세종
- 초량 왜관에서 교역하는 상인 - 조선 후기
- 도평의사사에서 회의하는 관리 - 원 간섭기 (정답)
- 규장각 검서관으로 근무하는 서얼 - 조선 후기
- 빈공과 응시를 준비하는 6두품 유학생 - 신라 하대
![](https://blog.kakaocdn.net/dn/4puTH/btsp620yDV6/VSYXUNMVGAZq5NNLxMk7e0/img.png)
벽란정은 벽란도에서 외국사신들을 맞이하던 관사의 이름입니다.
벽란도는 고려의 국제 무역항으로 보기에서 고려를 찾으면 됩니다.
-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 고구려
- 활구라고 불리는 은병이 주조되었다 - 고려 (정답)
- 동시전이 설치되어 시장을 감독하였다. - 신라 지증왕
- 계해약조가 체결되어 일본과 교역하였다. - 조선 세종
-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덕대가 등장하였다. - 조선 후기
![](https://blog.kakaocdn.net/dn/eea3sE/btsqfzP4KMg/gQk6kWlKUTCSNn1pfgBJx0/img.png)
수덕사 대웅전에 대한 이야기이다.
정답 1
화엄사 각황전 - 의상이 지었으나 임진왜란때 소실되어 1703년 재건 (전라남도 구례군)
부석사 무량수전 - 영주, 고려시대
봉정사 극락전 - 안동, 고려시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법주사 팔상전 - 충청북도 보은군
![](https://blog.kakaocdn.net/dn/d5EF8x/btsp7o3wzCb/MMKCnbFpHzRNyT4wXryoBk/img.png)
최영 등 신흥무인이 등장한 것은 고려 말기이다.
-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 - 고려 예종
- 서희가 외교 담판을 벌여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 고려 성종
-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정권을 장악하였다. - 정답
- 배중손이 이끄는 삼별초가 용장산성에서 항전하였다. - 대몽항쟁
- 최우가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장기 항전을 준비하였다. - 대몽항쟁
![](https://blog.kakaocdn.net/dn/bB22PZ/btsqaQECiFG/7YK21xTehKURzATqGHzrF1/img.png)
경국대전이 완성되어 배포된 것은 성종때이다.
- 독립된 간쟁 기관으로 사간원이 설치되었다. - 조선 태종
- 함길도 토착 세력인 이시애가 난을 일으켰다. - 조선 세조
- 직제가 개편된 홍문관에서 경연을 주관하였다. 조선 성종 (정답)
- 집현전 관리를 대상으로 사가독서제가 시행되었다. - 조선 세종
-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한 탕평비가 건립되었다 - 조선 영조
![](https://blog.kakaocdn.net/dn/dDDpHT/btsqfAnVxNo/xvktuEdcOaxIoqqtyVBSh0/img.png)
문정왕후가 수렴 첨정을 한 것은 명종이다.
-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난 이유를 찾아 본다. - 왕자의 난은 이방원이 일으켰다.
- 황사영 백서 사건이 가져온 결과를 살펴 본다. - 천주교 신유박해
- 예송 논쟁의 발생 배경을 파악한다. - 조선 현종
- 갑술환국의 전개 양상을 정리한다 - 조선 숙종
- 윤임 일파가 축출되는 과정을 조사한다. - 을사사화
728x90
'버티풀크라운 > 다우니즈 핫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65회 심화(2023) 31~40 (0) | 2023.08.21 |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65회 심화(2023) 21~30 (1) | 2023.08.18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65회 심화(2023) 1~10번 (0) | 2023.08.16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64회 심화(2023) 41~50번 (0) | 2023.07.26 |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64회 심화(2023) 31~40번 (0) | 2023.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