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 다들 한번씩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여기 그 말을 증명해낸 한 주한미군 청년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x6FK/btrX4jmPjoA/acTJYVmI7DCkY3uRnZ5bs1/img.png)
그렉 보웬씨의 모습 (출처 : 전곡 선사 박물관 홈페이지)
1978년 주한미군 기상관측병으로 복무하던
그렉 보웬씨는 당시 여자친구(후일 아내가 된) 이상미씨와 한탄강에서 데이트를 하던 중
커피를 마시기 위해 코펠을 얹을 돌멩이를 찾았고
여자친구가 주워 온 돌멩이들에서 낯익은 돌멩이를 발견하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M4GeK/btrX32FDNcl/J0rAZBzJGICRbGM7vGAKG0/img.png)
위의 사진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의 사진을 참고용으로 편집한 것으로 본문의 내용과 무관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h01G/btrX1oDHauA/U0DBDWSyQvBNcMEkOTvs90/img.png)
아래 쪽은 둥글고 위쪽의 양 측면을 날카롭게 간 것이 특징이다. (출처 : 전곡 선사 박물관 홈페이지)
그는 양면핵석기 혹은 아슐리안 형 주먹도끼라 불리는 구석기 유물을 발견 한 것이었습니다.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그저 평범한 돌멩이였지만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에서 고고학을 공부하다 학비를 벌기 위해 입대한 그렉 보웬씨에게
그 돌은 사람이 인공적으로 가공한 흔적이 있었고 형태가 예사롭지 않았습니다.
그렉 보웬씨의 이 작은 발견은 후에 전 세계를 놀라게 할 큰 발견이었음이 밝혀지는데
당시 세계 고고학계는 하버드 대학 모비우스 교수의 모비우스 학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XaIn/btrX2mY9uRT/uNZaptkx7ydGOStCPEF1V1/img.png)
모비우스 교수
모비우스 교수를 중심으로 한 학자들은 동아시아 부근에서는
찍개는 발견되지만 더 정교한 형태인 주먹도끼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에서
모비우스 라인이라는 가상의 선을 그어 서양이 동양보다 인종적으로 우월하다고 주장하고 있었고
세계 고고학계는 이런 모비우스 학설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ctoy/btrX1z56woe/WkQlI22a9JA6KYsdcQL9ak/img.png)
모비우스 학설 (출처 : 전곡 선사 박물관 홈페이지)
아슐리안 형 주먹도끼를 데이트 도중 한탄강 인근에서 발견한
그렉보웬씨는 프랑스의 고고학자 보르도 교수에게 편지를 보냈고
편지를 받은 보르도 교수는 당시 한국 고고학계의 권위자였던
서울대학교의 김원룡 교수를 소개시켜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cr7Z/btrX18NFdrp/8OkiVXXl8JZpwo60HhpGb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WSXlR/btrX1OaOwYD/CkPVL8PzLKS6KrUxWiEEBK/img.png)
삼불 김원룡 선생 모습 (출처 : 전곡 선사 박물 홈페이지)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면서 연천 전곡리에서는 아슐리안 형 주먹도끼가 대량으로 발견되었고
이후 세계의 학자들의 검증까지 완료되면서
연천 전곡리 유적은 모비우스 학설을 반박하는 증거로서 세계 고고학계의 정설을 바꾸게 됩니다.
이후 전역 후 석사학위를 취득한 그렉보웬씨는 나바호내셔널 박물관에서 연구원으로 일하였는데
후에 연천 전곡리 유적 구석기 축제에 초대 되어 한국을 다시 방문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Cdmg/btrX3tXOmgD/0egAfMF8Kju6Syc1KPomvk/img.png)
그렉 보웬 씨의 모습(우측 출처 : 연합뉴스)
그는 한 인터뷰에서 주먹 도끼를 발견했을 때 심정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습니다.
"황량한 벌판에서 주먹도끼를 봤을 때 나는 내가 무슨 일을 해낸 것인지 믿을 수 없었고
그 때가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이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
고고학을 공부 중이던 한 미군 병사가 여자친구와 데이트 중 길바닥에 있는 돌멩이에서
세계적인 발견을 한 것처럼 우리가 아는 것이 우리에게 어떤 놀라움과 행복을 선사 해 줄지 모릅니다.
'버티풀크라운 > 브라우니 라이브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자신을 추방하다-아리스티데스 이야기- (0) | 2023.03.02 |
---|---|
자신의 죄를 씻는 곳 '연옥'에 관해서 (0) | 2023.02.03 |
보험 (0) | 2022.11.03 |
커피하우스 (0) | 2022.11.03 |
중세인의 이름 (0) | 2022.11.03 |
댓글